떡밥위키
최근 변경
최근 토론
특수 기능
파일 올리기
작성이 필요한 문서
고립된 문서
고립된 분류
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
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
내용이 짧은 문서
내용이 긴 문서
차단 내역
RandomPage
라이선스
IP 사용자
216.73.216.107
설정
다크 모드로 전환
로그인
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
로스트 미디어/목록
(r1 문단 편집)
닫기
RAW 편집
미리보기
==== 필름 유실 ==== * [[제1회 NHK 홍백가합전|제1회]](1951년)~[[제13회 NHK 홍백가합전|제13회]](1962년), [[제15회 NHK 홍백가합전|제15회]](1964년) [[NHK 홍백가합전]][br]제13회는 뉴스 촬영 목적으로 녹화된 단편적인 흑백 영상이 있다. 라디오로만 방송한 제1~2회는 물론, TV 방영한 다른 회차의 경우도 남아 있는 영상자료를 찾을 길이 없다. 그래도, 사진도 남아 있지 않은 제1회를 제외하면 당시 무대 사진을 통해 간접적으로나마 접할 수 있다. [[제5회 NHK 홍백가합전|제5회]](1954년)~[[제7회 NHK 홍백가합전|제7회]](1956년)는 일부가 잘려 있지만 라디오 음성 대부분이 남아 있고 [[제8회 NHK 홍백가합전|제8회]] 이후는 라디오 녹음도 남아 있다. 컬러 영상을 기준으로 하면 최초의 컬러 방영분인 제15회의 영상 자료는 흑백, 컬러 모두 유실되었고, [[제16회 NHK 홍백가합전|제16회]]의 컬러 영상 자료는 일부만이 전해지며 이후에도 홍백가합전의 컬러 영상 자료는 소실되거나 일부만 남는 등 제대로 보존되지 못하다가(물론 이들은 모두 흑백 영상이 온전히 남아 있다) [[제23회 NHK 홍백가합전|제23회]]를 방영한 1972년부터 NHK가 홍백가합전의 VTR 보존을 결정함에 따라 제23회 이후의 방영분은 모두 컬러 영상이 온전하게 남아 있다. * 1960년대 초중반 [[일본]]의 컬러 방송자료들 대다수 일본은 세계적으로 보면 굉장히 이른 편인 1960년 9월 10일에 컬러방송을 시작했으나[* 1960년대 초까지 정규 컬러 방송을 실시하던 나라는 일본을 제외하면 [[미국]]밖에 없었다. 사실 일본이 컬러 방송을 실시하기 이전에 [[쿠바]], [[소련]]도 잠깐이나마 컬러 방송을 하긴 했으나 이들은 수도 인근에 한해 방송한 시험방송 정도에 머물렀으며 미국도 1960년대 초중반까지 컬러 TV가 귀중품 취급받았으니 이들 나라에서 컬러 방송을 본 사람도 극히 적었다.] 컬러 방송 시작 6년 후인 1966년까지도 컬러 TV 보급률이 0% 대였을 정도로 컬러 TV가 매우 귀했기에 컬러 방송의 빈도도 극히 적었고 [[방송자료]] 보존이라는 개념도 미비했던 시절이었으니 대중들에게 공개된 일본의 최초의 컬러 방송 자료는 거의 없다. 물론 1965년에 방영한 [[제16회 NHK 홍백가합전]]의 일부는 인터넷에서 컬러 영상을 확인할 수 있으며, NHK 아카이브에 당시 방영했던 컬러 방송 필름 일부가 보관되어 있다. * 제1회(1956년), 제9회(1964년) [[유로비전 송 콘테스트]] 1회 대회의 경우 라디오 녹음본과 수상곡 공연 영상만이 현존하며 9회 대회는 이마저도 존재하지 않는다. * [[증기기관차 토마스]] 1953년판 애니메이션 1953년에 영국 [[영국방송공사|BBC]]에서 생방송으로 방송 도중에 헨리 모형이 탈선해서 제작진이 급히 올려다 놨지만 이미 그 실수가 전역에 퍼져나갔고 원작가 윌버트 오드리도 형편없다며 질타를 했다. 이 화 자체는 [[공개 중지 미디어]]가 되었다. 그로 인해 이후 방송은 취소되었고 영상은 물론, 음성 자료마저 찾을 수 없다. * [[Jeopardy!]] 1964~1975년까지 방영했던 에피소드 중 고작 24편만이 현존한다. * [[돌격! 휴맨!]][br]일종의 공개 코미디와 같은 촬영방식을 사용한 특이한 작품인데, 현재는 모든 에피소드의 필름이 유실되었다. 재방송은 여러 번 했다는데 녹화 장치가 없던 1970년대 초반 작품이라 녹화본도 없다. * [[가자! 레드 빅키즈]] * [[미라클 자이언츠 도무군]] 1996년 재방송 이후 홍수로 인해 마스터 테이프가 유실되었다. 현재 온전히 남아 있는 것은 VHS로 출시되었던 1~10화와 SP 에피소드 뿐으로 인터넷에 도는 이후 에피소드들은 모두 개인이 녹화한 것이다. * [[김수한무 거북이와 두루미 삼천갑자 동방삭 치치카포 사리사리센타 워리워리 세브리깡 무두셀라 구름이 허리케인에 담벼락 담벼락에 서생원 서생원에 고양이 고양이엔 바둑이 바둑이는 돌돌이|김수한무 거북이와 두루미가 탄생한 원조 콩트]][br]1970년대 중반에 방송했다. * [[가요톱10]]의 1992년 11월 11일 이전 방영분들 현재 남아있는 방영분은 모두 결산 방송분들뿐이다.[* 1985년, 1987~1991년 연말결산, 1987~1990년 상반기 결산](1988년 방송분 5개[* 4월 20일~5월 18일 방영분. 그마저도 화질이 매우 안 좋기 때문에 릴레이 방송시에는 생략된다.]와 울산특집 제외) 일부 80년대 방송분이 남아있으나 저화질인 것으로 보아서는 당시 시청자가 [[VHS]]로 녹화했던 것을 기증한 것으로 보인다. 또한 개인 유튜버인 Woober99가 2020년 1985년~1986년 방송분 5편을 유튜브 혹은 데일리모션에 올렸으나 [[KBS 미디어]]의 저작권 신고로 유튜브 채널이 폭파되었으며 데일리모션에 올라왔던 1986년 방송분 2편은 영상이 삭제되었다. * [[전국노래자랑]]의 1992년 이전 방영분들 1980년대 후반~1992년까지의 방영분은 현재 상반기결선[* 전국노래자랑에서 상반기결선은 2013년을 끝으로 폐지되었다.]과 연말결선만 남아 있으며, 1980년대 중반 이전으로 가면 상반기결선과 연말결선 방영분조차 얼마 남아 있지 않다. 다만 2001년 방영된 21주년 특집에서 92년 이전 방영분들의 모습이 나오는 것으로 봐서는 이 시점까지는 방영분이 남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. 이 쪽도 일부 1980년대 방송분이 남아 있으나, 당시 모 [[시청자]]가 VHS로 녹화했던 것을 기증했던 것으로 보이며 2020년 개인 유튜버 Woober99가 1986년 방영분, 1987년 방영분을 유튜브에 올린적이 있었다. * [[유머 1번지]]의 1989년 11월 4일 이전 방영분들 대다수 전체 영상을 온전히 볼 수 있는 방송은 1989년 11월 4일 방영한 338회부터이며 그 이전 방영분은 극히 일부를 제외하고는 볼 수가 없다.[* [[1984년]] 이전에 나온 유머 1번지 코너 중에 [[김형곤]]과 [[엄영수|엄용수]]가 [[바둑]]관련 콩트 장면이 담긴 코너가 유튜브에 올라온 적 있었다. 이 동영상을 올린 유저는 [[재미교포]]인데, 이 동영상을 KBS에 기증한다고 밝히고 나서 동영상을 내렸는데, 그 이후에 대해서는 불명.][* 2020년에 유튜버 Woober99가 1985년 ~ 1987년 방영된 일부회차들을 올려놓았으나 채널 폭파 후 데일리모션에 올려놓았으며 또 다른 개인 유튜버 UTT는 [[주병진]]이 출연하였던 1983년 4회 방영분까지 올려놓았으나 역시 [[KBS 미디어]] 측 신고로 채널이 폭파되었다.] 대표 코너였던 [[동작그만]]도 이 때문에 유튜브 채널 [[KBS COMEDY: 크큭티비]]에 올라 온 영상들은 거의 후반부 방영분들이다.[* 그나마 남아 있는 영상은 오재미의 전역 에피소드, 이상운의 최선임 시절 영상 극히 일부 정도이며 코너의 시작인 김한국 전입은 물론 이상운 전역, 한정호·김종국·성낙앙·양종철·이영남의 전입 장면은 아예 볼 수가 없으며 2019년 출연자였던 [[이경래]]가 소장한 양종철 병장 시절 일부 회차들의 녹화본을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 올렸으나 저작권 문제로 전부 내려갔다.] * 1966~1975년 MBC 10대 가수 청백전, [[MBC 가요대제전|MBC 10대가수 가요제]] 1971년, 1972년, 1973년 가수왕[* 현재로 치자면 대상 수상자.]이었던 [[남진]]이 훗날 SBS [[트롯신이 떴다]]에서 언급한 바에 따르면 당시 촬영 테이프가 비싸서[* 1970년대 기준으로 촬영용 비디오 테이프 가격은 15만원으로, 직장인 평균 월급 12만원을 상회할 정도로 비쌌다.] 기존 테이프에 덧씌워서 녹화하는 방식이 비일비재 했기에 본인의 가수왕 수상 당시 자료가 하나도 남아 있는 게 없다고 한다. * [[쇼텐]][br]1966년에 시작한 일본의 코미디 프로그램인데 1973년 중반기 방송분부터 보존된다. * [[SBS 8 뉴스]], [[SBS 뉴스쇼]] 1992년 1월 1일 ~ 1992년 3월 22일 방영분 [[국립중앙도서관]] 사이트 다시보기에서 위 해당기간 뉴스 다시보기가 누락된 상태이며 [[SBS|자사]] 프로그램인 [[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]]에서 [[1992학년도 후기 대학입학 학력고사 문제지 유출 사건]]과 관련한 내용을 다루었을때 자사 취재 영상이 아닌 [[KBS 뉴스9]] 자료화면으로 대체한 것으로 보아 당시 뉴스영상 및 취재영상이 유실된듯 하다. * 1960~80년대 [[문화방송]] 지역 방송자료들 대다수 남아있는 자료가 대부분 유실되었다. 1960년대~70년대말 지역 라디오 프로그램은 찾아볼 수 없고, 1980년 5월 20일 [[광주문화방송|광주MBC]] 사옥이 시위로 불타서 자료가 소실되었다. 라디오는 1981년 [[MBC경남|진주MBC]] 시보와 1982년 [[부산문화방송|부산MBC]] 시보, 1987년 [[MBC충북|충주MBC]], 1988년 [[울산문화방송|울산문화방송]] 시보가 존재하고 있다. TV는 1983년 [[MBC충북|청주MBC]] 개국뉴스와 1984년 [[대구문화방송|대구MBC]] 뉴스쇼, 1986년 [[MBC충북|청주MBC]] 해바라기동산, 1986년 [[대전문화방송|대전MBC]] ID 및 특집 다큐멘터리, 1986년 씨뿌린 사람들[* 대구문화방송의 자체 텔레비전 프로그램], 60만의 로타리[* 울산문화방송의 자체 텔레비전 프로그램], 1988년 [[전주문화방송|전주MBC]] ID 및 대학가요제 영상, 백야 김좌진, 사하라에 부는 녹색바람이 있다.[* 대전문화방송의 자체 TV 프로그램]
요약
문서 편집을
저장
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
CC BY-NC-SA 2.0 KR
또는
기타 라이선스 (문서에 명시된 경우)
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. 이
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.
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.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,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(216.73.216.107)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.
저장
사용자
216.73.216.107
IP 사용자
로그인
회원가입
최근 변경
[불러오는 중...]
최근 토론
[불러오는 중...]